양인격(羊刃格)
명리학에서 양인격(羊刃格)이란, 재성을 극하며 사람이 중심이 된 사주이며, 양일간의 격(양인격)과 음일간의 격(겁재격, 월록, 음인격)으로 나눠서 봐야한다. 양일간은 나의 세력을 불리며 내가 그 집단의 리더가 되려하고 , 음일간은 자신을 이끌어주는 세력에 기대려고 하기에, 같은 집단에 양인격이 존재할 확율이 높다.
양인격(羊刃格)
양일간의 양인격의 특징
주로 월지가 자오묘유의 왕지이다. 미토와 술토는 양인격으로 따로 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월지가 일간에 투간되어 세력이 왕한 경우가 많다.
양일간의 양인격과 십성관계
- 비견: 인맥을 잘 유지한다
- 겁재: 겁재가 투간되면 쟁재 심해지고 겁재들끼리 싸우게 된다. 경계심이 높다.
- 식신: 왕지이기에 식상을 잘 생하지 못한다. 기술, 운동, 특기
- 상관: 왕지이기에 식상을 잘 생하지 못한다. 기술, 특기
- 정재: 내영역 지키려해서 위상은 커보이나 현실을 고수함.
- 편재: 재생살로 이어진다면 추진력과 스케일이 커짐.
- 정관: 겁재극하고 갈궈서 다른사람을 관리하는 관리직으로 어울린다. 겁재들이 싫어할 수 있다
- 편관: 살신성인하는자세를 다른 겁재들한테 보여줌으로 겁재가 잘 따른다, 재생살한다면 대표성이나 공공성을 추구함, 쟁재하기때문에 쉽지는 않음. 양인격에서는 편관이 가장 중요함
- 정인: 유불리 따짐, 기준 철저히 하고 사람보는 눈이 있다.
- 편인: 겁재를 생함, 도움을 잘 주고 받는다.
음일간의 양인격(겁재격, 월록, 음인격)의 특징
주로 월지가 인신사해등의 역마의 성분으로 되어있다. 특정분야의 독보적 존재일 확율이 높으며 까칠한 면모의 보유자 일 수 있다.
음일간의 양인격과 십성관계
- 비견: 인덕이 높고, 식상 생하고, 숙력도 높다
- 겁재: 인기가 많고 개인적 능력이 높으며 미인일 수 있다.
- 식신: 자기주장 강하고, 실력이 강하고, 식샌생재가 가능하나 식신제살해서 결과가 미미할 수 있다. 꾸준히 배움과 새로운것을 추구한다.
- 상관: 상관생재하고 실력이 높고 본업 이외에 취미나 부업능력도 있다. 꾸준히 배움과 새로운것을 추구한다.
- 정재: 좁은영역, 현실성 높다.
- 편재: 넓은영역, 꿈과 이상 실현, 쟁재에 대한 불안함
- 편관: 적당히 겁재를 극해서 타협한다.
- 정관: 심하게 겁재를 극하여 구속 될 수 있다. 겁재에 의해 좌지우지, 관이 없다면 통제나 목적 없어짐
- 정인: 월지를 생하며 인기 많고 유행에 민감함, 주위에서 많은 제안 들어옴
- 편인: 인기 많고, 서로 도움 주고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