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戊土)일간
명리학에서 무토(戊土)일간이란, 순환하는 대양 기운의 끝으로 실행력이 강하고 의지가 투철한 면을 보인다. 하지만 큰 양 기운을 음기운으로 변화시켜 과도한 팽창을 막고 조화를 이룰 수 있기에 만물을 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무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무토의 겉과 속의 심리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
표면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내면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표면: 편재
내면: 편인
자기를 희생해서 겁재들을 위한 토대가 된다.
자기말을 잘 듣도록 유도한다.
일주
비견
무
자
정재
태
비견
무
인
편관
장생
비견
무
진
비견
관대
비견
무
오
정인
제왕
비견
무
신
식신
병
비견
무
술
비견
묘
지장간
임
편재
계
정재
계
정재
무
비견
병
편인
갑
편관
을
정관
계
정재
무
비견
병
편인
기
겁재
정
정인
무
비견
임
편재
경
식신
신
상관
정
정인
무
비견
12운성
12신살
12신살
태
재살
장생
지살
관대
월살
제왕
장성살
병
역마살
묘
화계살
10신 | 관계 | |
---|---|---|
갑 | 편관 | 태산에 홀로 서있는 나무로 기개가 넘치나 외롭다. 재물은 얻을지 몰라도 명예는 따르지 못한다. |
을 | 정관 | 태산에 외로운 화초라 외롭다. 무토 입장에선 철부지 자식을 보는 부모의 마음이다. 뜻이 통하지는 않지만 이해해 줘야한다. |
병 | 편인 | 만물을 길러내고 두루 비춘다는 맥락에서 의견이 통한다. 같은 목적이 있다면 일이 잘 진행된다. |
정 | 정인 | 산에 뜬 달이며 음양의 조화가 맞아 서로에게 힘이된다. |
무 | 비견 | 산이 산을 만나니 신념과 고집이 강해진다. |
기 | 겁재 | 산과 그 앞의 밭이다. 때로는 바람을 피하지만 서로 경쟁하며 혼란스러운 형국이다. |
경 | 식신 | 토생금하여 금에게 기운을 빼앗긴다. |
신 | 상관 | 토생금하여 금에게 기운을 빼앗긴다 |
임 | 편재 | 힘의 균형이 조화롭다면 서로에게 득이되나 수의힘이 크면 서로에게 해가된다. |
계 | 정재 | 큰산에 비해 적은 물이다. 천간합이 일어나 육체적 욕구가 뒤따른다. |
무토의 특징
토양의 성분이여서 세상 모든 만물을 받아들일 수 있다. 순환하는 음양의 대양의 절정이며 음으로 변화를 시작하여 양과 음을 모두 받아들이고 이해할수 있으며 양과 음 모두 알고 있는 존재이기에 만인의 입장을 이해 할 수 있다.
넓은 대지이기에 많은 사람이 머무를 수 있어 사람을 이어주는 중개, 유통등의 역할에도 소질이 있다.
고집이 세고 자기가 세운 원칙에 빠져 융통성이 결여될 수 있다. 폐쇄적이고 뒤로 딴생각을 할 가능성이 있다.
토생금: 노력으로 얻은 지식으로 결과를 만드는 행위를 의미한다
화생토: 병화를 만나면 경금을 활용해 인맥을 활용해 사업을 확장한다. 신금이 온다면 신금을 활용 하여 사물이나 해당 분야에 정통하게된다.
토극수: 임수를만나면 많은물이 지나가 많은 사람들을 거쳐간다. 계수를 만나면 오래동안 머물다 간다.
목극토: 공부또는 연구에 매진하게 되며 몰랐던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게 된다.
무토과 12운성의 관계
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