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정격
명리학에서 10정격이란, 식신격(食神格), 상관격(傷官格), 정재격(正財格), 편재격(偏財格), 정관격(正官格), 편관격(偏官格), 정인격(正印格), 편인격(偏印格) 의 8정격에 특수외격인 양인격(羊刃格)과 건록격(建祿格)을 더한 것을 의미한다.
식신격(食神格)
명리학에서 식신격(食神格)이란, 의식주등 생존본능이 아주 강한 의식을 가진 사주이다. 소위 "어딜가나 살아남을 사람이다" 라는 말이 바로 이 식신격에 속한다. 그렇기에 나와 내 주위의 사람들을 먹여 살리기 위한 책임감이 아주 강하게 표출된다.
상관격(傷官格)
명리학에서 상관격(傷官格)이란, 관을 상하게 한다는 의미이지만 그 뜻은 강한 자아의 표출을 의미한다. 강하게 일간을 표현 하기에 본인이 가진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강력하게 부정하거나 거부하게 된다. 그래서 상관견관(: 상관은 관을 견제함) 이 발현되면 자신의 상식에 부합하지 못하는 일에 대해서는 잘못을 꼭 집고 넘어가거나, 저항정신 또는 개혁정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인이 앞장서 공공의 이익 대변을 대변하거나 타인을 위해 일하기를 마다하지 않지만, 자기것을 못지키는 경우가 있다.
정재격(正財格)
명리학에서 정재격(正財格)이란, 나와 내 주변에서 내가 관리하는 나의 영역이 바로 정재에 해당한다. 나의 가족, 직장, 친구, 소속된 모임등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많이 벌어서 부자가 되기보다는 차근차근 모으고 지속적 근검절약이 부를 축적하는 이유가 된다. 본인이 관리하는 영역안에서 많은 일을 담당하고, 조화와 상생을 추구한다. 재생관 하여 조직에서도 모범이 되는 경향이 있다.
편재격(偏財格)
명리학에서 편재격(偏財格)이란, 지우친 재물 격이라는 뜻으로 해석 가능하지만 넓은 범위의 활동과 자유로워 지고 싶어하는 사주의 격을 의미한다. 정재격이 나와 내가 속한 단체의 영역을 잘 지키는 성격이라면 편재격은 무재한의 영역과 끊임 없는 도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천간에 투간된 편재격은 품고 있는 꿈의 계획이 확실하고 구체적이다. 지지가 편재라면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그 과정에서 꿈과 계획을 세우게 된다.
정관격(正官格)
명리학에서 정관격(正官格)이란, 규칙과 표준을 잘 지키고 합리적이고 안정적으로 나의 역역과 권리를 지키려 노력하는 격에 해당된다. 스스로가 규칙을 지키고 있다고 믿고 있기에 그 기준을 벗어나는 행위를 배척하는 경우가 많고 내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확실히 구분하여 배척하기도 한다.
편관격(偏官格)
명리학에서 편관격(偏官格)이란, 대표적인 흉신으로 내게 주어진 의무와 일을 중요시 하는 격이다. 정관격이 목적과 목표를 중요시 한다면 편관격은 과정을 중시 더욱 중요시 한다. 편관격은 칠살에 해당되며 일간을 극하기에 내 삶이 힘들 수 있으며 그 힘든과정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정인격(正印格)
명리학에서 정인격(正印格)은 정관과 더불어 대표적인 길신에 속한다. 현재 사회 시스템 속에서 안정적 삶을 추구하고 유년시절부터 학업에 매진하여 인정을 받게 되며 정도를 걷는 삶을 살게 된다. 일간을 생하여 내가 누를 권리와 의무를 잘 알고 있어 노력끝에 얻은 권리에 대한 주장도 잘 표출한다.
편인격(偏印格)
명리학에서 편인격(偏印格)은, 정인격의 목적의식을 바탕으로 한 정규과정의 교육보다는 내가 추구하는 정신적이고 이상적인 삶을 위해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이상을 향해 노력하며 목적과 동시에 과정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양인격(羊刃格)
명리학에서 양인격(羊刃格)이란, 재성을 극하며 사람이 중심이 된 사주이며, 양일간의 격(양인격)과 음일간의 격(겁재격, 월록, 음인격)으로 나눠서 봐야한다. 양일간은 나의 세력을 불리며 내가 그 집단의 리더가 되려하고 , 음일간은 자신을 이끌어주는 세력에 기대려고 하기에, 같은 집단에 양인격이 존재할 확율이 높다.
건록격(建祿格)
명리학에서 건록격(建祿格)이란, 자신의 능력이 아주 높으며 겁재가 많아서 식신활동을 잘하여 사회적으로 인정받거나 유명하질 가능성이 있으나 재성을 극하여 하는일에 비해서는 돈이 잘 안모일 가능성이 높다. 환경이 비견이라 내 동료가 많으며 비교적 신왕한 경우가 많다. 건록격은 특수 외격으로 양일간의 건록격과 음일간의 건록격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